[JSP] Servlet request, response
·
Back/JSP
사용자는 서버에 요청(request)을 하고 서버는 데이터를 가공하고 처리해서 사용자(user)에게 응답(response)한다. 이때 이 요청과 응답은 객체로 만들어서 전달된다. request와 response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기전에 httpServlet에 대해서 알아보자 HttpServlet httpServlet은 추상 클래스(abstract class)이다. 개발자 즉, 우리가 만든 ServletEx.java 파일이 Servlet이 되기 위해서는 HttpServlet 라는 추상 클래스를 상속 받아야 한다. httpservlet은 GenericServlet이라는 추상 클래스를 상속하고 있고 이 GenericServlet 클래스는 ServletConfig와 Serializable이라는 인터페이스를 구..
서블릿 매핑(Servlet Mapping)
·
Back/JSP
Servlet Mapping 이란 특정 Servlet을 요청할 때 전체 경로의 URL을 요청하면 복잡하고 보안에도 취약하기 때문에 간단하게 경로를 표현해 주는 것 Servlt 매핑에는 web.xml 이용 Java annotaion 이용 이렇게 두 가지가 있다. web.xml 1) 프로젝트 생성 2) 서버 생성 3) Servelt 생성 4) Servlet 작성 서버를 실행하면 404페이지가 뜨는데 이때 경로 뒤에 SE를 써주면 된다! 아래와 같이 com.servlet.SevletEx 가 맞는지 확인!! 틀리면 서블릿 클래스 에러가 날 수 있다.
Servlet 프로젝트 생성하기
·
Back/JSP
Servlet 프로젝트 생성하기 프로젝트를 처음 실행하면 Server를 만들어준 후 build Path를 추가해준다. 그 다음 프로젝트 생성! doGet 메소드에 PrintWriter out = response.getWriter(); out.print("Hellp Sevlet"); 추가해주고 서버를 실행한다.
JSP 프로젝트 생성하기
·
Back/JSP
JSP 프로젝트 생성하기 JSP 파일 작성해보기 더보기 JSP 파일을 생성하면
MVC패턴
·
Back/Spring(Springboot)
디자인패턴 ∙ 소프트웨어 공학의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공통으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자주 쓰이는 설계 방법을 정리한 패턴 ∙ 디자인 패턴을 참고하여 개발할 경우 개발의 효율성과 유지보수성, 운용성이 높아지며 프로그램의 최적화에 도움이 됨 ∙ MVC 패턴은 디자인 패턴 중 하나 MVC란? Model, View, Controller의 약자 처리 순서 1. 사용자의 요청(request)을 controller가 받음 2. controller는 처리한 데이터를 model에 저장 3. Model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View를 제어해서 사용자에게 전달 Model ∙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데이터를 나타냄 ∙ 데이터베이스, 처음 정의하는 상수, 초기화 값, 변수 등을 뜻함 ∙ 이러한 Data 정보들의 가공을 책임지..